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2023.04.13

[더벨] 남운성 대표

 

 

"상장 후 AI(인공지능) 서비스화 작업에 더욱 주력할 계획이다. 이미 현재 AI 영상 인식 솔루션을 의료, 게임, 건설, 금융 등 다양한 산업군으로 확장하는 단계다. 이를 통해 기존 정부기관 중심의 매출구조를 바꾸고 수익성을 진작시켜 나가겠다." 

 

남운성 씨유박스 대표(사진)는 지난 5일 강남구 역삼동 본사에서 더벨과 만나 이같이 강조했다. 씨유박스는 2010년 설립된 AI 영상인식 솔루션 업체다. 인천국제공항 출입국 심사대와 정부종합청사의 얼굴인식 출입시스템 등이 대표 레퍼런스다. 이처럼 주로 B2G(기업 대 정부) 사업을 중심으로 성장해왔지만 중장기적으론 민간으로 저변을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남 대표는 "서비스 형태의 AI는 기보유한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고객의 인프라 시스템에 접목하는 것으로 하드웨어를 비롯해 매번 새롭게 제품을 납품해야 하는 기존 용역 사업 대비 원가율이 낮다는 강점이 있다"며 "향후 3~4년 뒤엔 이 AI 서비스 영역이 전체 매출액의 절반 수준까지 도달할 수 있게 키워나갈 계획"이라 말했다. 현재는 전체 매출의 약 80%가 B2G 사업에서 나오고 있다.

 

씨유박스는 다양한 산업 플레이어들과 AI 적용 시나리오를 타진 중이다. 일례로 병원에선 오랜 시간 축적해 온 진찰 데이터를 AI 기술로 분석, 환자 진단 업무가 보다 수월해질 수 있다. 건설 현장의 안전 관리를 AI를 통해 체계화하려는 니즈도 높다. 평소 사고 발생 확률이 높은 장소와 재해 형태 등을 AI로 미리 분석해 중대 재해 발생 가능성을 낮추는 식이다.

남 대표는 "단순히 AI 기술만 갖고 모르는 분야에 뛰어드는 것이 아니라 AI의 필요성을 정확히 체감하는 곳을 타깃으로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신규 분야에 대한 진출이 쉽고 사업 리스크도 낮출 수 있다"며 "자체 경쟁력으로 꼽히는 풍부한 컴퓨팅 파워와 고도화된 AI 기술 역량을 수요처에 제공해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씨유박스는 AI 연구개발(R&D)을 위한 장비투자에 힘을 쏟았다. AI 기술 핵심 인프라인 그래픽처리장치(GPU) 기기 확보를 위함이다. 이 컴퓨팅 파워가 AI의 연산, 해독 능력과 직결되기 때문에 GPU 서버를 충분히 갖추는게 사업 경쟁력 측면에서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씨유박스는 40억원을 들여 총 10대의 GPU 장비 'DGXA100'을 확보하고 있다. 이보다 상위 장비인 'H100'도 16대 구매를 추진 중이다.

이번 IPO(기업공개) 자금 역시 대부분 CAPEX(자본적지출)로 배정했다. 공모 희망가액 최하단가액인 1만7200원을 기준으로 산정한 순수입금 중 약 65%(약 163억원)를 GPU 서버확충에 쓴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올해부터 2025년까지 3년간 매해 54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약 88억원의 잔여 공모자금은 기술 R&D 및 AI 서비스 영업, 마케팅 확대 목적으로 활용한다.

씨유박스는 인천국제공항 대상 AI 안면인식 시스템 구축 사업 공개도 앞두고 있다. 지난해 신규 수주한 인천국제공항 '원 아이디(One-ID)' 사업이다. 국제선 이용자를 대상으로 체크인 및 항공권 발급 시 얼굴을 등록케하고 이후 출국장 진입부터 면세점 이용, 항공기 탑승 등 주요 단계마다 간편하게 안면인식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골자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에서 만든 인증 표준을 인천 공항이 도입하는 내용이다. 현재 1차 사업을 진행 중이고 오는 7월 일부 구간을 대상으로 서비스가 시범 시작될 예정이다.

남 대표는 "이용자 입장에선 공항 대기 시간이 줄어들고, 공항 입장에선 보안을 강화할 수 있어 양측 모두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며 "특히 기존 연간 인천국제공항 이용객 대비 1.3배를 더 소화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될 것"이라 예상했다.

이를 토대로 해외 시장 확대에도 속도를 낼 방침이다. 인천국제공항 대상의 원아이디 구축 레퍼런스를 기반으로 해외 주요 공항에 원패스 인증 솔루션을 이식한다는 목표다. 단기간 고려하는 곳은 아시아 지역이다. 구체적으로 싱가포르, 베트남,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몽골 등이 1차 타깃이다.

남 대표는 "공항, 정부기관 등에서 연간 수천만명이 매일 우리의 기술을 이용한다는 자부심을 갖고 국익 기여에 힘쓸 것"이라며 "더불어 향후 약 5년 내 1조원 이상의 밸류에이션을 평가받는 것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기사 원문 :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304101018464520108169